2025년 7월 7일 월요일

가성비 구내식당 (용산역, 서울역)

 

https://www.youtube.com/watch?v=Sxxxvanni_o











이용가능시간

중식 : 11시~14시

석식 : 17시~19시

매월 둘째 넷째 일요일은 휴무

2025년 7월 4일 금요일

smart draw crack

 



Patch Activation 버튼을 누르면 위 그림처럼 Error가 뜹니다.
뭐가 이미 있다는 메세지죠
일단 X를 눌러 팝업창을 지우고
내 컴퓨터에서 프로그램 설치경로로 갑니다.
해당 경로의 PDV.DLL.bak 이라는 파일을 따로 빈폴더를 만들어서 그안에 넣어둡니다.
그리고 위그림의 Target 경로를 ...버튼을 눌러 찾아갑니다.
그곳의 EXE파일을 선택후
Patch Activation을 눌러주면 


이렇게 Patch Done 이 됩니다.







여기서 close를 눌러야 Trial 30일에 걸리지않고 쭉 쓸 수 있다.




2025년 7월 1일 화요일

PhotoShop CS6 crack 뚫는 법

시험사용을 클릭할것

★반드시 인터넷을 차단한후 진행할것


 


설치하고픈 프로그램들을 체크할것
너무 많이 체크하면 용량이 너무 커지므로 컨트롤할것
나같은 경우엔 illustrator, PhotoShop, Flash 이것 위주로 설치

다 설치하고나면 30일 Trial이 걸려있다.

이걸 깨려면 마지막 단계인 dll파일을 설치경로로 가서 붙여넣기 해야한다.
Default 설치경로는
ProgramFiles >> Adobe >> 설치프로그램 폴더안에 위치해있다.
amtlib.dll 파일을 찾으면 된다.





언어설정을 한글>>영어로 바꾸고싶을때
일단 https://blog.naver.com/rbgusl777/221791492324 << 여기에서 영어팩 다운로드 받을것
편집 >> 환경설정 >> 일반 
단축키 Ctrl+K
Language를 English로 선택

재실행을 배보면 아래 그림과 같은 Error를 볼수 있을겁니다.

Additional unlicensed language packs found in the application folder.
Please the application
(심지어 에러문구에서 langauge라고 오타가 있네요)

이럴땐 설치폴더로 가서 en_US만 놔두고
ko_KR폴더는 다른곳으로 빼두면 됩니다.
반대로 하면 다시 한글버젼으로 실행 됩니다.
(원하는 언어의 폴더만 위치시킬것)


이제 영어버젼으로 된다.



2025년 6월 30일 월요일

XRP Staking (BingX)

 

XRP(=리플)의 스테이킹이 가능한 거래소들이 있습니다.

거래소들마다 이자율이 다 다르며

대체로 순위권이 낮은 거래소들이 이자율이 높은 편입니다.

위 거래소는 BingX


Assets >> Wealth 에서 빨간 동그라미 부분을 누르면 쌓이는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 시간마다 쌓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위 그림은 100개의 XRP를 staking 했을때 쌓이는 비율입니다.

500개 까지는 연이율 8%가 적용됩니다.



Redeem // Subscribe more

Assets >> Wealth >> Details

Redeem(상환)은 아무수량이나 할수있음 (0.1개 테스트로 상환해봄)

Subscribe는 최소수량이 10XRP 이다.




한달간 쌓이는 이자를 체크해봤다.

(Assets(우측하단) >> Wealth(우측상단) >> History(아이콘))

시작날짜 6/19 

시단당 쌓이는걸 체크하려면 Interest Details를 누르면 됨

7/17 (거의 한달)

누적된 XRP는 약 0.6321...  에 해당한다. (100XRP기준 연이율 8%일때)

500개 XRP를 Staking하면 여기의 5배가 된다.

(3.16XRP)



==================================================================

6.19 ~ 7.19 (한달간)

Totla Interest 0.67069203 XRP

(여기서 테스트로 Redeem 한거 0.1 XRP를 추가해야함)

100XRP가 한달간 0.77XRP 이므로
500XRP는 한달간 0.77 * 5 = 3.85 XRP




...

...






여기는 바이비트



XT에서는 fixed는 65일로 1.5%고정이고

flexible은 최장 115일일때 6%까지 입니다.



ByBit ::: 0.7% 고정  (카드발급비용이 없음 ★)

CoinBase ::: XRP Staking없음

Kucoin ::: 0.03%

XT ::: 1.5% flexible













2025년 6월 17일 화요일

아두이노 라이브러리 수동제거 하는방법 (파일경로)

 





복수개의 라이브러리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부분을 해결하려면 설치된 라이브러리중 사용되지 않는 라이브러리를 수동삭제 해줘야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4hR71WG4mmE&t=88s

Adafruit I2C Device 해더파일이 없다는 Error네요

구글 검색후 해당 사이트에서 다운로드를 받습니다.

검색 잘 안되면 https://www.arduinolibraries.info/libraries/adafruit-bus-io

여기로


다운받은 Zip파일을 이렇게 추가하면 됩니다.


2025년 6월 8일 일요일

이태원 참사 지원금 인당 550만원(12개월간 x 유가족인원수당 x 총159명)

 




유가족 인당 550만원
12개월이면 (550 x 12개월 = 6600만원)
여기에 희생자 포함 4인가족이라고 가정하면
(6600만원 x 4인 = 2억6천400만원)

총 희생자가 159명이니
419억7600만원이 소모되는 예산입니다.

159명이 어떻게 추산된건지 검색해보니
직접사망이 아닌 경우도 포함이라고 합니다.




이에 의견이 분분하지만
안파에 의해 서로 밀치다가 다친거면 서로 책임소재를 가려야하지만
국가의 책임으로 가야 보상금이 더 크다는걸 인지한 사망자 유가족들이 계산기를 돌린게 유력하긴 합니다.

이에 정치권이 다시 계산기를 돌렸는데
마참 사망사건이 벌어진게 윤정부고
민주당은 이때가 기회라고 생각하고 윤정부 책임으로 몰아세웠다고 본니다.

골목 건축물들의 문제를 걸고넘어가는데
설령 그 건축물의 문제라고해도 그게 윤정부때 세워진게 아닌 이전부터 세워진거면
그걸 통화시킨 공무원들의 책임으로 몰아가야 정상이지만
그렇게되면 민주당의 계산기가 제대로 돌아갈수 없기에 절대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유가족들도 보상금을 높게 받으려면 어디에 붙어야할지에만 급급하다보니
뭐가 옳고 그른지 판단력을 잃은지 오래입니다.



참고로 
민주당이 일명 시체팔이로 지지층 모을때 쓰는 카드들이
1.위안부 할머니들
2.세월호
3.이태원

카드가 없어지면 새로운 카드를 계속 만들겁니다.
세상에 공짜 없듯이
지원금 받으면 계속 끌려다녀야합니다.

윤미향이 위안부 할머니 앞으로 들어오는 후원금을 개인계좌로 가로챈후
민주당 정치자금으로 흘려보낸 그 돈의 흐름을 모두 기억해야함

이 공식은 다른 유가족을에게도 적용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