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족 인당 550만원
12개월이면 (550 x 12개월 = 6600만원)
여기에 희생자 포함 4인가족이라고 가정하면
(6600만원 x 4인 = 2억6천400만원)
총 희생자가 159명이니
419억7600만원이 소모되는 예산입니다.
159명이 어떻게 추산된건지 검색해보니
이에 의견이 분분하지만
안파에 의해 서로 밀치다가 다친거면 서로 책임소재를 가려야하지만
국가의 책임으로 가야 보상금이 더 크다는걸 인지한 사망자 유가족들이 계산기를 돌린게 유력하긴 합니다.
이에 정치권이 다시 계산기를 돌렸는데
마참 사망사건이 벌어진게 윤정부고
민주당은 이때가 기회라고 생각하고 윤정부 책임으로 몰아세웠다고 본니다.
골목 건축물들의 문제를 걸고넘어가는데
설령 그 건축물의 문제라고해도 그게 윤정부때 세워진게 아닌 이전부터 세워진거면
그걸 통화시킨 공무원들의 책임으로 몰아가야 정상이지만
그렇게되면 민주당의 계산기가 제대로 돌아갈수 없기에 절대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유가족들도 보상금을 높게 받으려면 어디에 붙어야할지에만 급급하다보니
뭐가 옳고 그른지 판단력을 잃은지 오래입니다.
참고로
민주당이 일명 시체팔이로 지지층 모을때 쓰는 카드들이
1.위안부 할머니들
2.세월호
3.이태원
카드가 없어지면 새로운 카드를 계속 만들겁니다.
세상에 공짜 없듯이
지원금 받으면 계속 끌려다녀야합니다.
윤미향이 위안부 할머니 앞으로 들어오는 후원금을 개인계좌로 가로챈후
민주당 정치자금으로 흘려보낸 그 돈의 흐름을 모두 기억해야함
이 공식은 다른 유가족을에게도 적용될겁니다.